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3

영어 exclaim 과 cry 의 뉘앙스 차이 질문 exclaim 이 뭔가 더 크게 소리치는 건가요 cry 보다? 책에서 그녀가 소리쳤다 가 두 가지가 섞여서 나오는데 어느정도의 차인지 모르겠어요 she exclaimed. she cried. 차이 좀 알려주세요 답변 2023. 4. 3.
조건절 if/when 뉘앙스 차이 질문 영어 회화에서 'if'하고 'when'은 정확히 구체적으로 뉘앙스와 느낌에서 어떤 차이가 있나요? 답변 2023. 4. 3.
2022년도 지방공무원 9급 영어기출 문제 및 풀이 (1-10번) 2022년도 지방공무원 9급 영어기출 문제 및 풀이 (1-10번) 1. 밑줄 친 부분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School teachers have to be flexible to cope with different ability levels of the students. ① strong ② adaptable ③ honest ④ passionate 답: ② adaptable 문제 해석: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능력 수준에 따라 대처하기 위해 유연해야 합니다. 답변 풀이: 주어진 문장에서 "flexible"은 "유연한"을 의미하며, 이는 문맥상 "다양한 학생들의 능력 수준에 대처할 수 있는"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의미는 "② adaptable"입니다. "Adaptable"은 "변.. 2023. 3. 31.
2022년도 국가공무원 9급 영어기출 - 영어문제해설 (11 - 20번 문제) 2022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영어문제 해설 (11 - 20번 문제) 11.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I heard that the university cafeteria changed their menu. B: Yeah, I just checked it out. A: And they got a new caterer. B: Yes. Sam's Catering. A: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B: There are more dessert choices. Also, some sandwich choices were removed. ① What is your favorite dessert ② Do you know where their.. 2023. 3. 31.
All right과 OK의 차이 질문 영어로 알았어 라고 할 때 All right이나 OK라고 하잖아요? 둘의 차이가 뭘까요? 상황별로 뉘앙스 차이가 있나요? 답변 "All right"와 "OK"는 모두 "좋아", "괜찮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표현 모두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기 때문에, 대체로 상황별로 큰 뉘앙스 차이는 없습니다. 하지만, "All right"는 좀 더 공식적이고, 조금 더 신중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사가 부하직원에게 업무를 지시할 때 "All right"를 사용하면, "알겠습니까?"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상사의 지시를 따르기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반면에, "OK"는 좀 더 일상적이고, 비교적 가볍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들끼리 .. 2023. 3. 31.
rough 와 tough 의 차이가 뭔가요? 질문 rough 와 tough 의 차이가 뭔가요 ? 사전상의 의미에는 별 차이가 없는 듯한데요, 사용상에 있어서 늬앙스라던가의 차이가 있나요 ? 그리고 어떤 경우에 각각 사용이 되는지 예를 좀 알려주세요 답변 "Rough"와 "tough"는 사전상의 의미는 비슷하지만, 뉘앙스와 사용하는 경우에 차이가 있습니다. "Rough"는 대체로 표면이나 질감이 거칠거칠하거나 부드럽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 또한, 상황이나 행동이 불완전하고 불완전하게 처리되었거나 조잡하게 처리되었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his blanket is rough to the touch"는 "이 담요는 만져보면 거칠어요"라는 뜻입니다. 다른 예로는 "His handwriting is rough and hard to read.. 2023. 3. 31.
반응형